![[Mac] Vim 일반모드(normal mode) 한/영 자동 전환 (karabiner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se1k4%2FbtrIT8H3dxd%2FwMdTzatrA5tGn0QfzHZEK0%2Fimg.png)
Vim에 능숙한 것은 아니지만, 개발을 처음 배울 때 에디터로 vim을 사용해왔기에 나름 vim에 친근함을 느끼고 있다.
그래서 Xcode에서도 Vim Mode를 사용하고 있다. (.swift 파일 등의 파일을 선택해, 코드를 작성하는 화면이 보이는 상태에서, 상단의 Editor 메뉴를 클릭하면, Vim Mode를 선택할 수 있다.)
Vim Mode로 사용하면서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했는데, 바로 한글 입력 상태에서는 vim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입력모드에서 한글 타이핑을 하다가 노말모드로 들어갔을 때, 가장 불편함을 느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몇가지 방법이 나왔다. 그중에서 내가 선택한 방법은 Karabiner를 사용하는 것이다.
Karabiner
Karabiner-Elements의 Complex Modifications 기능을 활용해서 ESC 키가 입력되면, 언어를 영어로 바뀌도록 설정해주는 것이다.
나는 원래 Karabiner를 사용하고 있었기에, 이 방법을 선택했다. 원래 Karabiner를 이용해서 [command + .]을 ESC로 작동되게 사용하고 있었는데, 여기에 언어를 영어로 바꿔주도록 설정을 추가해주었다.
Karabiner의 설정들은 karabiner.json 파일로 저장되는데, 이 파일의 경로는 아래 사진 속 버튼을 눌러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더 자세한 Karabiner 사용법은 구글에 검색해보면 많이 나오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하다.
참고 - Karabiner.json
현재 사용 중인 karabiner 설정 파일을 압축해서 글 제일 하단에 올려두었다.
이 설정 안에는 caps lock 키를 F19 키로 바인딩 해주는 설정도 들어있다. 본인은 F19 키를 한영전환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caps lock 키로 입력 소스를 전환을 할 때, 딜레이가 생기는 것을 막아주기 위함!)
필요한 부분은 적절하게 수정하여 복사, 붙여넣기로 사용하시면 좋을 듯 하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2T (Notion to Tistory) - Notion에서 Tistory로!! (0) | 2023.04.12 |
---|
경영학 출신 개발자 Sanhan의 블로그 입니다.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이나, 모아두었던 글, 독서 내용 등을 틈틈이 정리하여 공유하려 합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